본문 바로가기
Windows/Windows

[Windows] ICMP, ping 테스트 하기, 방화벽 해제 방법, 그룹 정책, PowerShell, 규칙 추가

by 지혜를 탐구하는 오딘 2022. 3. 24.
반응형

 

반응형

1. ping 테스트, ICMP 테스트를 하는 이유

같은 네트워크 안에 있는 컴퓨터(혹은 장비) 간에 통신이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icmp, 흔히 'ping 테스트'를 한다. 리눅스 같은 경우는 ping 테스트에서 잘 반응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Windows 에서는 방화벽이 있어서 ping 테스트를 해도 반응이 없다.

 

(더보기)

PowerShell | ping 대신 "Test-Connection"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활용🔗

 

 


2. 방화벽의 역할

방화벽, 말 그대로 불을 막는 벽이다. 

Kali Linux 같은 것에서 'Ping of Death'라는 공격이 있다. ping 을 한번에 많이 보내서 네트워크 장비(Router, Switch 같은 장비가 과도한 트래픽을 못 이겨 기계가 꺼지거나 재부팅 된다. (내가 Kali Linux에서 해보니까 1초에 10만 개 이상을 보냈다. 그렇게 1-2분 하니까 Router가 갑자기 재부팅했다.)

그런 'ping of death'공격이나 'TCP SYN flooding' 등 불필요한 트래픽 또는 침투를 막는 역할을 한다.

 

방화벽의 종류를 알고 싶으면 해당 글🔗을 참조하자.


3. ping 테스트 하는 방법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ping을 보냈다. Request timed out이 나오며 통신이 안 된다.

ping 192.168.55.19

위와 같이 'ping ip주소' 를 입력하면 된다리눅스 같은 경우는 ping을 보내면 멈출 때까지 계속 보내지만, 윈도우에서는 4번만 보낸다. '-t'를 붙이면 계속 보낸다. 

여러 기능이 있다.

 


 

4. 방화벽 해제 방법

Windows Defender 방화벽을 실행하자.

4-1. 규칙 추가

왼쪽에 "고급 설정"을 누르자.

 

인바운드 규칙에서, "파일 및 프린터 공유(에코 요청 - ICMPv4-in) - 도메인"을 '사용함'으로 체크하자.

그러면 ping 테스트만을 위한 방화벽이 해제된다.

(굳이 사용자지정을 만들어서 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 지정으로 하면 번거롭기만 하다.)

 

** 만약 도메인이 없다면, "개인, 공용"으로 진행하자.

 

 

4-2. 그룹 정책으로 해제

[실행 --> gpedit.msc --> 컴퓨터 구성 --> Windows 설정 --> 보안 설정 --> 고급 보안이 포함된 Windows 방화벽 --> 인바운드 규칙 --> 새 규칙] 순서로 진행하자.

 

[미리 정의 -->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순서로 진행하자.

 

[파일 및 프린터 공유(에코 요청 - ICMPv4-in) - 도메인] 을 체크하자. 

 

 

연결 허용

 

그룹 정책이 추가 됐다. 'gpupdate'를 통해서 그룹정책을 업데이트 하자.

업데이트 하면 방화벽 해제 규칙이 추가된다.

 


4-3. 방화벽 해제

왼쪽 "Windows Defender 방화벽 설정 또는 해제" 를 누르자.

 

도메인 네트워크 설정을 'Windows Defender 방화벽 사용 안 함'으로 변경하자.

 

** 만약 도메인 네트워크가 없는 PC라면 "개인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자.

 

그렇게 되면, 방화벽이 해제되고, ping이 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4. PowerShell 로 방화벽 해제/설정

아래 코드를 입력하자.

Set-NetFirewallProfile -name Domain -Enabled False

이렇게 하면, 도메인 네트워크 방화벽이 해제된다.

만약 개인 네트워크를 해제하고 싶으면, 'Private', 공용은 'Public'이다.

 

PowerShell 로 규칙을 추가하거나, 좀 더 세세한 컨트롤을 원한다면, 공식문서🔗를 참조하자.

 

 

 

(더보기)

PowerShell | ping 대신 "Test-Connection"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활용🔗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