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Windows | 컴퓨터 시작하자마자 프로그램 실행하게 하기(shell:startup) 개요, 부팅되자마자 프로그램 실행하기 (shell:startup) 부팅되자마자 프로그램 실행하게 설정하기 (shell:startup) 결과보기 1. 개요, 부팅되자마자 프로그램 실행하기 (shell:startup) 작업관리자에 등록하지 않고도, 컴퓨터가 부팅되고 프로그램을 "자동" 실행되게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 방법은 작업관리자에 등록되지 않기 때문에, 리소스를 상대적으로 덜 잡아먹습니다. 단점은, 부팅 프로세스가 다 끝나고 난 뒤에 실행하기 때문에 다소 늦게 실행됩니다. 컴퓨터를 부팅하였을 때에는 그렇게 바쁜 일은 없을 것이기 때문에 사소한 단점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2. 부팅되자마자 프로그램 실행하게 설정하기 (shell:startup) [windows🪟 + R] 을 눌러 '실행'.. 2023. 6. 23. [Windows] 파일 경로 길이 제한 풀기, 260자 이상 경로 만들기 1. 경로 길이 제한을 푸는 이유 2. 경로 길이 제한 푸는 방법 2-1. 그룹 정책으로 경로 길이 제한 푸는 방법 2-2. 레지스트리 변경으로 경로 길이 제한 푸는 방법 2-3. PowerShell로 경로 길이 제한 푸는 방법 3. 경로 제한 변경 검증 1. 경로 길이 제한을 푸는 이유 Windows 에서는 파일 경로 제한이 260자까지 있다. [경로 + 파일 이름 + 확장자]까지 260자이다. Windows 10 1607 버전부터는 NTFS 들어오면서 길이 제한을 늘릴 수 있다. OS 버전을 확인 하는 방법은 해당 글🔗을 참고하자. 2. 경로 제한 푸는 방법 2-1. 그룹 정책으로 경로 길이 제한 푸는 방법 실행 창([Windows] + [R])을 열어서 'gpedit.msc'를 입력해서 '그룹 정책.. 2023. 6. 22. PowerShell | 폴더 공유하기 개요, 폴더 공유하기 PowerShell 로 현재 공유한 폴더 보기 PowerShell 로 폴더 공유하기 PowerShell 로 폴더 공유 삭제하기 (참고자료 및 출처) 1. 개요, 폴더 공유하기 폴더 공유하는 여러가지 방법 중에 PowerShell 파워쉘에서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Windows | 폴더 공유하기 및 공유폴더접속하기🔗 2. PowerShell 로 현재 공유한 폴더 보기 Get-SmbShare 를 입력하면, 현재 공유하고 있는 폴더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3. PowerShell 로 폴더 공유하기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 $folder_path = "공유할폴더경로" New-SmbShare -Name "NAME01" -Path $folder_path -ReadAcc.. 2023. 6. 19. Windows Server | 인증서 서비스 서버 만들기 개요, Windows Server 에서 인증서 서버란 Windows Server 에서 인증서 서버 만들기 1. 개요, Windows Server 에서 인증서 서버란 "Active Directory 인증서 서비스"를 만드는 방법 등에 관련되어 알아보겠습니다. 이 서비스는 네트워크 내의 서버나 클라이언트의 신원을 인증하고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데 도움을 주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2. Windows Server 에서 인증서 서버 만들기 [서버 관리자 --> 관리 --> 역할 및 기능 추가 --> Active Directory 인증서 서비스 --> 체크] 까지 진행합니다. [인증 기관 웹 등록 --> 체크] 이후 계속 기본값으로 진행합니다. 설치가 끝나면, [대상 서버에서 Active Director.. 2023. 6. 16. Azure | AZ-600 시험 후기(Azure Stack Hub Operator Associate) 여차 저차 해서 취득한 AZ-104, Azure Stack Hub Operator Associate 시험 후기입니다. 일단 그냥 덤프를 보고 무작정 공부했습니다. 2023년 5월 5일 Examtopics.com 에 업데이트 된 덤프를 기준으로 공부했습니다. 정확히 800점으로 합격했습니다. (700점 이상 합격) 덤프 문제 수가 176문제라고 하지만, 제가 VCE Player 로 만들어보니, 167 문제였습니다. (만약 VCE 파일을 원한다면, 댓글에 이메일 남겨주세요) Multiple Choices, 41문제 Case Study, 1개 10문제 Multiple Choices 에서는 2문제 제외 모두 덤프에서 나왔습니다. Case Study 는 완전 새로운 것이어서, 문제를 풀어보려고 했으나, 실패했습니.. 2023. 5. 23. Windows Home | Hyper-V 활성화하기 1. 개요 2. Windows 에디션 별 Hyper-V 확인 3. Windows Home 에서 Hyper-V 활성화하기, 켜기 (출처 및 참고자료) 1. 개요 Windows Home 에디션에는 없는 Hyper-V를 사용하고 싶을 때에 어떻게 해야할까요? 2. Windows 에디션 별 Hyper-V 확인 Enterprise, Pro, Education 에는 Hyper-V 가 있지만, Home 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고 나옵니다. 3. Windows Home 에서 Hyper-V 활성화하기, 켜기 하지만, GitHub에 존재하는 많은 형님들께서 만들어 놓으셨습니다. pushd "%~dp0" dir /b %SystemRoot%\servicing\Packages\*Hyper-V*.mum > hyper-v.txt f.. 2023. 5. 17. Windows | 폴더 공유하기 및 공유폴더접속하기 구글링 해본 방법 웬만해선 아주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제가 아는 제일 간단하게 파일 공유 및 공유 폴더에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폴더 속성] 창을 실행합니다. [공유 \ 고급 공유 \ 이 폴더를 공유 (체크)] 위 방법대로 합니다. 사용자 접속 세션개수를 제한할 수도 있습니다. 기본값은 20입니다. 기본적으로 권한은 "Everyone"에게 "읽기" 권한만 있습니다. 변경하고 싶다면, [Permissions] 버튼을 클릭하여 수정합니다. 다른 컴퓨터에서, 공유한 컴퓨터의 "\\호스트네임", "\\컴퓨터이름" 을 입력합니다. 컴퓨터이름(호스트네임)을 알아보는 방법은 여기([Windows] Windows 컴퓨터 이름 호스트네임 확인 및 변경 방법, PowerShell, 레지스트리)🔗를 참조합니다. 만약 컴퓨터.. 2023. 5. 10. 스티커 메모, Sticky Note 데이터 파일 위치, 보는 방법 1. 개요 2. 스티커 메모 데이터 파일 위치 3. 스티커 메모 데이터 파일 보는 방법 (출처 및 참고자료) 1. 개요 스티커 메모(Sticky Note) 역시 어떤 데이터를 활용합니다. 이 역시도 결국 SQLite🔗 를 사용해서 파일을 만듭니다. 2. 스티커 메모 데이터 파일 위치 스티커 메모 데이터 파일의 위치는 아래와 같습니다. %LocalAppData%\Packages\Microsoft.MicrosoftStickyNotes_8wekyb3d8bbwe\LocalState %LocalAppData%🔗 의 기본 경로는 "C:\Users\\AppData\Local" 입니다. plum.sqlite plum.sqlite-shm plum.sqlite-wal 위 세 개 파일이 스티커 메모의 데이터 파일입니다. 만.. 2023. 4. 10. Windows 11 | 블루투스가 안 될 때. 장치관리자에도 드라이버 없을 때. 느닷 없이 블루투스 연결이 안 되어서, 키보드도 못 쓰고 있었습니다. 장치관리자(devmgmt.msc)에 들어가서 하드웨어 스캔을 했습니다. (장치 관리자 실행하는 방법🔗) 장치관리자(devmgmt.msc) --> Action --> Scan for hardware chages 이렇게 클릭하면, 새로운 하드웨어 장치를 찾아냅니다. 하지만 이렇게 해도 블루투스 드라이버는 없었습니다. 이럴 때의 제일 좋은 방법은 해당 드라이버를 업데이트 혹은 새로 설치하는 것입니다. 먼저 업데이트를 해보겠습니다. https://www.intel.co.kr/content/www/kr/ko/download/18649/intel-wireless-bluetooth-for-windows-10-and-windows-11.html? W.. 2022. 12. 16. 이전 1 2 3 4 5 ··· 10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