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그룹정책 | 모든 사용자에게 관리자 권한 주기, Users 에 관리자 권한 주기 1. 모든 사용자에게 관리자 권한 주는 이유 2. 모든 사용자에게 관리자 권한 주는 방법 3. 결과 1. 모든 사용자에게 관리자 권한 주는 이유 컴퓨터에 관리자 권한이 없으면 상당히 골치 아픈 경우가 많이 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설치할 때라든가, 어떤 파일을 읽을 때에 권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 특히나 공용으로 사용하는 컴퓨터에 관리자권한을 주고 싶은 경우가 있다. (컴퓨터는 약간 누더기가 될 수 있겠지만) 로컬 계정으로 사용해도 되지만, Active Directory Domain Service 를 사용하고 있다면, 누가 언제 로그인해서 무슨 짓을 했는지 추적할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나쁘진 않다. 2. 모든 사용자에게 관리자 권한 주는 방법 [컴퓨터 구성 --> 기본 설정 --> 제어판 설.. 2022. 7. 1.
그룹 정책 | 컴퓨터에 관리자(개인, 특정사용자)만 로그인하게 만들기 1. 특정 그룹만 로그인하게 만드는 이유 2. 특정 그룹만 로그인하게 만드는 방법 3. 특정 그룹만 로그인하게 만든 결과 1. 특정 그룹만 로그인하게 만드는 이유 Active Directory 에 가입한 컴퓨터에는 기본적으로 'Domain Users' 그룹의 사용자가 로그인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로그인 할 수 있는 그룹은, Administrators, Backup Operators, Power Users, Users, Guests, Domain Admins, Domain Users 그룹) 공용으로 사용하는 컴퓨터라면 상관 없겠지만, 개인이 사용하는 컴퓨터는 보안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즉, 내 컴퓨터에 다른 놈이 로그인해서 이것저것 해놓을 수 있다. 그렇기에 관리자만 혹은 특정 사용자 그룹만 로.. 2022. 6. 29.
모든 정책 우선 순위 | 로컬 정책, AD 정책, 사용자 정책, 컴퓨터 정책 1. Windows 정책의 종류, 4가지 2. 각 정책의 우선 순위는? 3. 우선 순위 테스트 1. Windows 정책의 종류, 4가지 그룹 정책의 종류(?)는 4가지가 있겠다. (종류라는 말이 적절한지 잘 모르겠다.) 아주 크게는 로컬 정책, Active Directory 정책, 2가지. 조금 세분화해서, 1. 로컬 컴퓨터, 2. 로컬 사용자, 3. Active Directory 컴퓨터, 4. Active Directory 사용자 2. 각 정책의 우선 순위는? 로컬 정책 vs AD 정책 은 말할 필요도 없이 AD가 우선 순위가 높다. 컴퓨터 정책 vs 사용자 정책은 해당 글🔗을 참조하자. 그렇다면 쟁점은, Active Directory 의 사용자 정책과, 로컬의 컴퓨터 정책이다. 테스트해보자! 3. 우.. 2022. 5. 16.
그룹 정책, 컴퓨터 구성 vs 사용자 구성. 차이와 우선 순위 [관련된 글] [Windows] 그룹 정책(GPO)에 대해서. 무엇이며, 왜 사용하나? [Windows] 그룹 정책(GPO) 우선 순위. 상속. 상속 차단 1. 컴퓨터 정책이 적용되는 순간, 컴퓨터 부팅 때 2. 사용자 정책이 적용되는 순간, 사용자가 로그온 할 때 3. 컴퓨터 정책 vs 사용자 정책 4. 검증 결과 그룹 정책에서 '컴퓨터 구성'과 '사용자 구성'이 분리되어있다. '컴퓨터 구성'과 '사용자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또한 어떤 것이 더 우선인지 살펴보자. 1. 컴퓨터 구성이 적용되는 순간, 컴퓨터 부팅 때 컴퓨터 부팅할 때에 컴퓨터 정책이 적용된다. 웬만한 정책은 컴퓨터를 재부팅해야지 적용된다. 대표적인 예가 스크립트 정책이다. 설명만 봐도, "컴퓨터 시작"이라고 적혀있다. 컴퓨터 시작할.. 2022. 4. 26.
그룹정책, 사용(사용 안 함) 후 구성되지 않음으로 원래대로 변경하면 어떻게 되는가? 1. Active Directory 에서 정책을 적용하고, 적용을 빼면 어떻게 될까?? 2. 아이콘, 파일 배포는 어떻게 될까? 3. "만들기" 정책과 "삭제" 정책을 같이 주면 어떨까? 1. Active Directory 에서 그룹 정책을 적용하고, 정책 적용을 빼면 어떻게 될까?? 결론: 기본값으로 돌아온다. 현재 그룹정책을 받아서, 바탕화면에 휴지통이 없다. 그러면, 해당 그룹정책을 "구성하지 않음", "Not Configured"로 변경하면 휴지통이 돌아올까? 구성되지 않음으로 변경했다. 기본 값으로 돌아온다. 2. 아이콘, 파일 배포는 어떻게 될까? 결론: 없어지지 않는다. 줬다가 뺐는 건, 역시 도리에 맞지 않는가 보다. 3. "만들기" 정책과 "삭제" 정책을 같이 주면 어떨까? "삭제"가 우.. 2022. 4. 21.
그룹 정책 아이콘, 파일, 바로가기 만들기, 삭제, 업데이트, 바꾸기 1. 바로가기 만들기 1-1. 먼저 그룹 정책으로 아이콘 파일을 배포 1-2. 그룹 정책으로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들기 2. 바로가기 업데이트 3. 바로가기 삭제 그룹 정책으로 아이콘을 만들기, 업데이트, 바꾸기, 삭제를 해보자. 'Edge', 'Notepad' 를 삭제, 'Remote Desktop Connection'은 'Google' 로고 모양의 아이콘에 'youtube.com'으로 바로 가기를 생성해보자. 1. 바로가기 만들기 'Google' 로고 이미지 파일을 SYSVOL 안에 넣어놓자. 그러면 자동으로 네트워크 공유 폴더에 생긴다. 디폴트 경로(+도메인)는 다음과 같다. "C:\Windows\SYSVOL\sysvol\yggdrasil.local" 'yggdrasil.local' 은 도메인이다. .. 2022. 4. 18.
[Windows] 그룹 정책(GPO)에 대해서. 무엇이며, 왜 사용하나? 1. 그룹 정책이란? 그룹 정책 사용 이유는? 2. 그룹 정책의 종류 3. 그룹 정책 설정하는 방법 3-1. 로컬 그룹 정책 설정하는 방법 3-2. Active Directory 환경에서 그룹 정책을 설정하는 방법 4. 그룹 정책 결과 보기 1. 그룹 정책이란? 그룹 정책 사용 이유는? windows 10, windows 11, windows server 2016, windows server 2019, windows server 2022 등등 컴퓨터에 어떠한 기능을 강제로 적용시킬 때에 주로 사용한다. 주로 보안을 위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컴퓨터가 USB같은 외부장치를 금지하게 만들거나, 제어판의 기능을 없앤다든가 추가할 수 있다. 물론 외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해당 기능을 조절해도 된.. 2022. 4. 16.
[Windows] Ctrl + Alt + Del 암호 변경 없애기, 그룹 정책, 레지스트리 1. 그룹정책으로 암호 변경 없애기 2. 레지스트리 변경으로 암호 변경 없애기 3. PowerShell 로 레지스트리 값 변경하기 Ctrl + Alt + Del 키를 눌렀을 때에 '암호 변경'이 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윈도우에서 암호를 변경하지 못하게 만들어야 할 때가 있다. 그럴 때에 'Ctrl + Alt + Delete'키를 눌렀을 때에 나오는 '암호 변경'을 비활성화 시켜보자. 1. 그룹정책으로 암호 변경 없애기 그룹 정책 편집기를 켜자. (실행 --> gpedit.msc) [사용자 구성 --> 관리 템플릿 --> 시스템 --> Ctrl + Alt + Del 옵션 --> 암호 변경 사용 안 함] 을 "사용"으로 변경하자. 그리고 gpupdate /force 로 그룹정책을 업데이트 하자. 그 다음 .. 2022. 3.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