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그룹정책, 사용(사용 안 함) 후 구성되지 않음으로 원래대로 변경하면 어떻게 되는가? 1. Active Directory 에서 정책을 적용하고, 적용을 빼면 어떻게 될까?? 2. 아이콘, 파일 배포는 어떻게 될까? 3. "만들기" 정책과 "삭제" 정책을 같이 주면 어떨까? 1. Active Directory 에서 그룹 정책을 적용하고, 정책 적용을 빼면 어떻게 될까?? 결론: 기본값으로 돌아온다. 현재 그룹정책을 받아서, 바탕화면에 휴지통이 없다. 그러면, 해당 그룹정책을 "구성하지 않음", "Not Configured"로 변경하면 휴지통이 돌아올까? 구성되지 않음으로 변경했다. 기본 값으로 돌아온다. 2. 아이콘, 파일 배포는 어떻게 될까? 결론: 없어지지 않는다. 줬다가 뺐는 건, 역시 도리에 맞지 않는가 보다. 3. "만들기" 정책과 "삭제" 정책을 같이 주면 어떨까? "삭제"가 우.. 2022. 4. 21.
그룹 정책 아이콘, 파일, 바로가기 만들기, 삭제, 업데이트, 바꾸기 1. 바로가기 만들기 1-1. 먼저 그룹 정책으로 아이콘 파일을 배포 1-2. 그룹 정책으로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들기 2. 바로가기 업데이트 3. 바로가기 삭제 그룹 정책으로 아이콘을 만들기, 업데이트, 바꾸기, 삭제를 해보자. 'Edge', 'Notepad' 를 삭제, 'Remote Desktop Connection'은 'Google' 로고 모양의 아이콘에 'youtube.com'으로 바로 가기를 생성해보자. 1. 바로가기 만들기 'Google' 로고 이미지 파일을 SYSVOL 안에 넣어놓자. 그러면 자동으로 네트워크 공유 폴더에 생긴다. 디폴트 경로(+도메인)는 다음과 같다. "C:\Windows\SYSVOL\sysvol\yggdrasil.local" 'yggdrasil.local' 은 도메인이다. .. 2022. 4. 18.
[Windows Server] 도메인 컨트롤러 추가하기 DC 추가하기 1. Domain Controller 추가 구성 하는 이유 2. Domain Controller 추가 구성하기 3. Domain Controller 삭제 하기 1. Domain Controller 추가 구성 하는 이유 Active Directory 에서 Domain Controller가 없으면 Active Directory 는 작동하지 않는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서버가 없기 때문에 Active Directory 없이 사용하는 것과 같다. 그래서 각종 정책을 받을 수 없고, 해당 자원을 관리하지도 못한다. 그래서 Active Directory 의 Domain Controller 를 여러 개 만들어서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 해야한다. 2. Domain Controller 추가 구성하기 처음은 Acti.. 2022. 4. 17.
[Windows] 그룹 정책(GPO) 우선 순위. 상속. 상속 차단 [관련된 글] [Windows] 그룹 정책(GPO)에 대해서. 무엇이며, 왜 사용하나?🔗 1. 그룹 정책 우선 순위 2. 그룹 정책 상속 / 상속 차단 1. 그룹 정책 우선 순위 [로컬 정책(Policies) > 관리 템플릿(Administrative Templates) > 바탕화면(Desktop) > 바탕 화면에서 휴지통 아이콘 제거(Remove Recycle Bin icon from desktop) 우선 순위 구분 설정 값 결괏값 현재 상태 1 하위 OU, Child OU Group.. 2022. 4. 16.
[Windows] 그룹 정책(GPO)에 대해서. 무엇이며, 왜 사용하나? 1. 그룹 정책이란? 그룹 정책 사용 이유는? 2. 그룹 정책의 종류 3. 그룹 정책 설정하는 방법 3-1. 로컬 그룹 정책 설정하는 방법 3-2. Active Directory 환경에서 그룹 정책을 설정하는 방법 4. 그룹 정책 결과 보기 1. 그룹 정책이란? 그룹 정책 사용 이유는? windows 10, windows 11, windows server 2016, windows server 2019, windows server 2022 등등 컴퓨터에 어떠한 기능을 강제로 적용시킬 때에 주로 사용한다. 주로 보안을 위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컴퓨터가 USB같은 외부장치를 금지하게 만들거나, 제어판의 기능을 없앤다든가 추가할 수 있다. 물론 외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해당 기능을 조절해도 된.. 2022. 4. 16.
[Windows] 사용자환경변수에 관하여, %UserProfile% %AppData% %LocalAppData% 등 1. 환경변수란? 1-1. 사용자 환경변수는 어디에 왜 사용할까? 2. 환경변수 보기 2-1. cmd 에서 사용자 환경변수 보기 2-2. PowerShell 에서 사용자 환경변수 보기 3. 자주 사용하는 환경변수 4. 언제 사용하는가? 1. 환경변수란? 환경변수를 먼저 알아보자. Wikipedia를 인용하면, 컴퓨터에서 동작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인 값이라고 한다. 프로그래밍에서 OS에서 사용하는 전역 변수, Global Variables 라고 봐도 무방하겠다. (그래서 이름도 Environment Variables 아닌가! Windows 에서 사용하는 변수의 개념은 레지스트리, Registry가 아닌가?) 1-1. 사용자 환경변수는 어디에 왜 사용할까? 환경변수에는 '시스템 환경변수'와 '사용자 환경.. 2022. 4. 16.
[Windows] 원격 데스크톱(mstsc) 구성하기 - 윈도우 10, 11, Server 1. 원격 접근 해보기 2. 원격 접근 허용하기 3. 원격 관련 레지스트리 리눅스는 많은 사람들이 Terminal 환경, CLI환경에서 작업한다. 반면에 윈도우, Windows는 (좀 더 인간 친화적인) GUI환경에서 작업한다. (물론 Windows에서도 CLI환경을 지원한다.) 그래서 SSH 같은 것을 사용하지 않고, 원격데스크톱을 사용해서 접근하는 일이 많다. MSTSC.exe 를 사용해서 접근할테니, MSTSC(MicroSoft Terminal ServiCe)를 허용하는 방법과 접근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원격 접근 해보기 해당 글🔗을 참조하여, 원격 데스크톱 연결(mstsc.exe)을 실행하자. 실행하면, 원격 데스크톱 연결이 뜨고, 컴퓨터의 IP를 입력하면 된다. 기본 포트번호는 3389이다.. 2022. 4. 7.
[Windows Server] 컴퓨터 이름 변경 불가, 도메인 탈퇴 불가능하게 netid.dll 컴퓨터 이름 변경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싶거나 Active Directory 에 가입한 도메인 탈퇴를 불가능하게 만들어보자. netid.dll 은 시스템 속성에서 탭 하나를 지칭하는데, 여기에서 컴퓨터 이름을 변경할 수도 있고 도메인 탈퇴도 가능하다. 만약 컴퓨터 이름 변경을 불가능하게 하고 싶다면, 여러 가지를 해야한다. 일단 netid.dll 을 비활성화하는 것은 도메인 탈퇴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그 방법을 알아보자. [그룹 정책 편집기 실행 --> 컴퓨터 구성 --> 정책 --> Windows 설정 --> 보안 설정 --> 파일 시스템] 으로 들어가자. 마우르 오른쪽 클릭으로 [파일 추가]를 누르고, "%SystemRoot%\system32\netid.dll" 을 입력하자. 'Admin.. 2022. 3. 26.
[Windows] Windows 10, 11 등 NTP, Network Time Protocol 인터넷 시간 동기화하기 1. 운영체제의 시간을 네트워크 시간으로 맞추는 이유는? 2. 시계를 정말 정확하게 맞추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3. 그룹 정책으로 시간 변경하기 메인보드에 수은전지가 있다. 이 수은 전지의 역할은 BIOS, 운영체제의 시간을 기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BIOS의 설정값을 기억하기 위해서도 사용한다. 모든 건전지의 수명이 무한정이 아닌 것처럼, 수은전지도 시간이 갈수록 점점 약해진다. 그렇게 되면, BIOS의 설정값은 어찌어찌 기억을 하더라도, 시간이 조금씩 느려질 수 있다. (초침이 있는 아날로그시계가 건전지 교체할 때 즈음에는 시계가 조금씩 느려진다.) 이는 전력이 약하기 때문이므로, 수은전지를 새것으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 1. 운영체제의 시간을 네트워크 시간으로 맞추는 이유는? 제일 중요한.. 2022. 3.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