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222

PowerShell | 개체 선택하기 Select-Object PowerShell 에서 개체(혹은 '오브젝트')를 선택할 때에, Select-Object 를 사용합니다. 그 중에서 -First -Skip -Last -Index -Property 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Last, -First, -Skip] 입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Last N :: 마지막 N개의 개체를 선택합니다. Get-Process | Select-Object -Last 3 # 마지막 3개의 개체만 선택 -Fisrt N :: 처음 N개의 개체를 선택합니다. Get-Process | Select-Object -First 4 # 처음 4개의 개체만 선택 -Skip N :: N개의 개체를 넘기고, 선택합니다. Get-Proecess | Select-Object -Skip 3 .. 2023. 6. 2.
법륜 스님의 반야심경 강의 - 5 | 제4장, 대승 보살의 수행, 제 5장, 아제아제 바라아제, 감상평 후기 제4장 | 대승 보살의 수행 잠깐 노력해보다가. 잘되지 않으면 부처님에게 하나님에게 손 벌리며 도와달라고들 빌지만, 하늘도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잖아요. 내가 최선을 다할 때 이웃 사람도 감동해섶나를 돕는 겁니다. 자신이 최선을 다하는 것이 바로 수행이며, 그러한 수행의 과정을 거쳐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배리는 오로지 깨달음입니다. '삶을 사는 게 심플해졌다' 라고 생각한 적이 있습니다. (왠지 저번에 말한 것 같은데) "내가 할 일과 진정 하고 싶은 일을 정하고 그것을 꾸준히 집중해서 하는 것" 제가 할 일이나 하고 싶은 일을 정하는 게 어려워서 그렇지, 일단 정하면 빠르든 느리든 일단 실행합니다. 그리고 꾸준히 합니다. 가죽공예를 취미로 하기 전에는 취미가 일(본업)이었고, 일이 취미였습니다. 솔직히.. 2023. 6. 2.
법륜 스님의 반야심경 강의 - 4 | 제3장, 소승 사상의 타파, 감상평 후기 제3장 | 소승 사상의 타파 이번 감상평은 짧습니다. 결국 공空 사상으로 귀결되는 내용이 계속 이어집니다. 그 중에서 제일 강하고 세게 얻어맞은(?) 것 같은 느낌을 받은 구절에 대해서만 감상평을 작성해보겠습니다. 그러므로 괴로움은 말할 것도 없고 즐거움마저도 본질을 꿰뚫어보면 괴로움일 뿐이니, 고苦와 낙樂이 모두 고입니다. 인생이 고라 함은 인생이 고락의 윤회라는 말입니다. '법륜 스님의 반야심경 강의 - 제3장 | 소승 사상의 타파 - 인생은 짧고 괴로움은 길다' 중 저의 삶의 방식과 딱 대비되는 부분이었습니다. 저는 게임에서 퀘스트를 완수하듯이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게임의 퀘스트를 완료하기 위해서는 사냥을 하든 아이템을 모으든 그렇게 고생(?)하는 시간이 꽤 길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2023. 5. 31.
PPT | 도형, 글상자 등 크기 단위 변경하기 개요, PowerPoint 에서 도형, 글상자 등 개체의 단위 때문에 생기는 문제 도형, 글상자 등 개체의 단위 변경 방법 출처 및 참고자료 1. 개요, PowerPoint 에서 도형, 글상자 등 개체의 단위 때문에 생기는 문제 저 같이, 한국에서 Windows 를 영문판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일부는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내용을 작성합니다. 영문 Windows를 사용하는 경우, 단위가 "imperial system🔗"으로 되어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발 특히 미국님들, Metric System🔗 사용해주세요.) 미국에 있다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한국에서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길이 측정 방식을 변경해보겠습니다. 이는 모든 O.. 2023. 5. 29.
법륜 스님의 반야심경 강의 - 3 | 제2장, 대승 보살 사상 (2), 감상평 후기 제2장 | 대승 보살 사상 (2) 고통 또는 괴로움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괴로움을 이겨내는 방법 같은 것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핵심은 제일 처음의 공空 사상과 다르지 않습니다. 모든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법 오온은 색수상행식 다섯 가지의 쌓임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색色은 오감(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으로 오는 것을 색이라고 한답니다. 수受는 외부의 정보를 받아들일 때의 느낌이라고 한답니다. 상想저장된 정보를 기억해내는 작용이랍니다. 행行은 의지의 작용이라 합니다. 식識은 쉽게 말해서 카르마Karma 라고 한답니다. 백팔번뇌니 뭐니, 엄청나게 많은 괴로움의 종류가 있답니다. 그 괴로움을 다 떨쳐내는 방법은 역시나 공空사상을 받아들이고, 마음을 편하게 먹으면 된다고 합니다... 2023. 5. 26.
Azure | AZ-600 시험 후기(Azure Stack Hub Operator Associate) 여차 저차 해서 취득한 AZ-104, Azure Stack Hub Operator Associate 시험 후기입니다. 일단 그냥 덤프를 보고 무작정 공부했습니다. 2023년 5월 5일 Examtopics.com 에 업데이트 된 덤프를 기준으로 공부했습니다. 정확히 800점으로 합격했습니다. (700점 이상 합격) 덤프 문제 수가 176문제라고 하지만, 제가 VCE Player 로 만들어보니, 167 문제였습니다. (만약 VCE 파일을 원한다면, 댓글에 이메일 남겨주세요) Multiple Choices, 41문제 Case Study, 1개 10문제 Multiple Choices 에서는 2문제 제외 모두 덤프에서 나왔습니다. Case Study 는 완전 새로운 것이어서, 문제를 풀어보려고 했으나, 실패했습니.. 2023. 5. 23.
728x90
반응형